2025년 10월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으로 총수입(티스토리 블로그 광고와 유튜브 광고도 같이 다루는 구글 애드센스에서 광고료 지급)이 1억원을 넘어서는 유튜버가 4,000명을 돌파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아 보았습니다.
1. 국내 유튜버 수입 현황
2025년 10월 14일 국세청 자료에 의하면 2021~2023년 유튜버의 총 총수입이 1억원 초과가 4,011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억대 유튜버는 2021년 2,449명, 2022년 3,359명, 2023년 4,011명으로, 2년 사이에 63.8%가 증가하였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2,088명, 여성이 1,923명입니다.
연령대별로는 남여 모두 30대가 가장 많았습니다. 남성은 30대가 1,065명으로 51.01%이었으며 40대가 513명(24.57%), 30대 미만이 308명(14.75%)였습니다. 여성은 30대가 896명(53.4%)로 가장 많았고, 30대 미만이 772명(40.15%)이었고 40대가 171명(8.9%)이었습니다.
2. 국세청 신고 국내 유튜버들 현황
유튜버로 국세청에 신고한 사람은 2023년 기준 24,673명으로 2021년 16,228명 보다 52%가 증가하였습니다.
같은 기간 유튜버의 전체 수입은 1조 782억 4,200만원에서 1조 7,798억 3,800만원으로 64.9%가 증가했습니다.
최근 유튜브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유튜버의 수입 규모와 인원이 지속적으로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3. 결
2025년 현재 국내 유튜버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구독자수 10만명 실버 버튼, 100만명 골드 버튼 등이 쇄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튜버 대비 블로거의 경우는 어떤가요. 티스토리의 경우 구독자 수 500명 제한 등으로 블로그 활동이 시작부터 제약을 받고 있습니다.
유튜브와 같이 광고로 같은 구글 애드센스를 사용하는데 구글과 제휴한 운영 회사인 카카오에서 정책적으로 구독자 수 500명 제약(블로거가 구독할 수 있는 사람 500명과 내 블로그를 구독할 수 있는 사람 수 500명을 각각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유튜브의 구독자 10만명, 100만명이 부럽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성공한 블로거들이 나오기가 힘듭니다. 구독자 수를 처음부터 제한해 놓은 한국형 AI 모델 같은 생각이 듭니다.
블로거들이 마음껏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카카오는 이런 제약부터 풀어야 하지 않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