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불합리한 수능제도 : 사회탐구 선택자 중 경제는 3.2% 뿐

by 선라이저 2022. 12.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범 교육평론자가 제기하는 우리의 수능 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1. 수능의 선택과목 상대평가 적용

 

  대입 수능성적표에는 국영수가 각 100점, 선택과목은 각 50점인데, 과목별로 몇 점을 받았는지는 나오지 않습니다. 대신 2005년부터 석차등급, 표준점수, 백분의 등의 3가지 상대평가 지표가 적힙니다. 석차등급은 상위 4%까지는 1등급, 11%까지는 2등급, 23%까지는 3등급...이런 식으로 9등급까지 매겨 집니다.

 

 유사하게 우리나라 주요 대기업들의 팀별, 개인별 연간 성과표도 200년대 중반부터 상대평가로 대략 S, A가 20%, B가 30%, C가 40%, D가 10% 하는 식으로 주어집니다.

 

 수능에서 왜 원점수가 없어졌을까요? 2005년 당시 선택과목이 대거 도입되었기 때문입니다. 교육부는 수험생이 어느 과목을 선택했는지 유불리가 생겨나지 않도록 상대지표만 제공합니다.

 

 그 결과 물리나 경제 같은 중요한 과목이 기피과목이 되어 버렸습니다. 이공계 과학탐구 과목에서 물리 33.1%, 화학38.7%, 생물 71.5%, 지구과학 72.2%을 선택하였습니다. 왜 물리를 회피할까요? 공부 잘 하는 학생들이 물리를 선택한다는 인식 때문입니다. 

 

 사회탐구도 마찬가지입니다. 경제와 세계사가 버려졌습니다. 사회탐구 선택자 중 경제를 선택한 사람은 3.2%, 세계사는 9.8%로 9개 선택과목 중 뒤에서 1,2위입니다. 내가 물리나 경제를 선택하면 상대평가인 제로섬게임에서 낮은 석차등급을 받을 것이라는 판단이 바탕에 깔려 있습니다.

 

 2. 다른 OECD 국가의 사례는

 

  OECD국가 중 대부분이 대입시험 제도를 가지고 있는데, 대세는 논술형이고 한국, 일본, 미국만 객관식 대입시험을 보고 있습니다.

 

  다른 나라는 논술형이나 객관식이나 모두 절대평가입니다.  일본에서 물리나 경제 기피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있는 이유는 절대평가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SAT의 경우 1년에 7번 치러지며 응시시기와 횟수는 학생 재량인데, 선택과목은 원점수는 안 나오고 200~800점 사이의 환산점수만 나옵니다. 이 환산점수는 응시자 중 상대적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회차별, 과목별 난이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평가를 위한 심사
평가를 위한 심사

 

3. 결

 

  최근 교육시민단체인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에서는 우리의 수능제도에서 상대평가가 위헌이라고 헌법 소원을 제기하였습니다. 

 

 상대평가를 적용하고 있는 수능제도나 기업의 평가제도는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기업의 상대평가 제도는 회사의 고용 조정(해고) 수단으로 전락할 위험성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팀장이나 회사에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은 연속 2년 저평가를 받으면 누구나 얼마 안 있어 회사를 나가야 합니다. 

 

 우리나라 회사 뿐만 아니라 수능에서도 2005년 이후 이러한 상대평가가 확대되고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