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업가 출신 트럼프의 3차원 협상술 : 관세로 위협하고 딜을 한다

by 선라이저 2025. 2. 4.
반응형

  미국이 이웃 나라인 멕시코와 캐나다에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도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입춘에 갑자기 추워진 날씨만큼이나 2025년 2월 3일 한국과 미국의 주식시장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2월 3일 밤에는 멕시코, 2월 4일 새벽에는 캐나다와 한 달간 관세 부과를 연기한다는 뉴스가 나왔고 주식시장은 반등하였습니다. 

 

  2기를 맞은 트럼프 행정부는 전반전 2년내에 결과를 도출하고자 교역 상대국에 속전속결로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협상술을 알아 보았습니다. 

 

1. 트럼프의 3차원 협상술

 

  2025년 2월 3일 미국 주식시장은 크게 출렁거렸습니다. 우리 시간으로 밤 11시 30분에 미국 시장이 시작하자마자 엔비디아를 비롯한 테슬라 등이 5% 넘게 크게 하락을 보였습니다.

 

  그러던 것이 한국 시간으로 자정을 넘긴 시간에 갑자기 드라마틱한 반등을 보였습니다. 마침 미국 주식시장을 중계하는 유튜브를 보고 있었고 미국이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한 달 간 유예한다는 뉴스가 흘러 나왔습니다. 2월 4일 아침에 보니 캐나다도 한 달 간 유예한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엄포가 결국 미국의 이익을 관철시키기 위한 정치적 압박이었던 것이 드러났습니다. 2기를 맞은 트럼프는 더 과격해졌지만 더 노련해지기도 했습니다. 

 

  2025년 2월 4일 한국 주식시장도 간 밤의 폭풍우가 잦아들고 안도의 한 숨을 쉬었습니다. 

 

 데이비드 랙스와 제임스 세베네우스가 공저한 '3차원 협상술'(당신은 협상을 아는가, 웅진지식하우스)에서는 시나이반도 국경선 문제로 부딪친 이스라엘과 이집트의 분쟁 케이스가 있습니다. 이웃한 두 나라는 좀처럼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었고, 미국의 헨리 키신저는 이스라엘이 원하는 것은 '안보'이며, 이집트는 '주권'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두 나라는 국경선을 어디다 그을지 놓고 싸우는 대신 이집트 국기 아래 비무장지대를 만드는 협상안에 동의했고, 결과적으로 두 나라는 각자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2. 협상에 취약한 한국

 

  지금까지 우리 사회는 협상에 대한 인식이 부족해 왔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협상에 대한 인식 부재가 여러 가지 손실을 불러온다고 합니다. 협상을 모르는 각국의 정부는 국가간 관계를 악화시키거나 국민의 세금을 낭비하고, 협상을 알지 못하는 기업은 손해를 보거나 몰락을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도 반도체, 2차전지, 조선 등의 산업이 미국과 중국의 격심한 무역 전쟁 속에서 제대로된 협상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우리는 중국에 몇 십년간 줄곳 무역 흑자를 보다가 그동안 힘을 키워온 중국에 의해 시장에서 쫒겨나자 몇 년전부터는 미국에 수출 우위로 무역 흑자를 시현하고 있습니다. 미국에 수출과 함께 투자를 하고는 있으나 이것이 잘 먹히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의 정권이 바뀌었다고는 하나 결과적으로 협상 전략이 미흡하였기 때문입니다. 

 

협상
협상

 

 

3. 결

 

 

  우리가 진정 원하는 것을 얻으려면 3차원의 협상가가 되어야 합니다.

 

  우리가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국익을 우선으로 하는 산업 전략이 우선 필요합니다. 세계적 수출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의 반도체, 2차전지, 조선 등의 산업이 분전해서 미국 시장에서 잘 자리를 잡았으면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