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AI는 휴머노이드로 대표되는 차세대 AI인 Physical AI로 향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표기업인 삼성전자는 2024년에 인수한 레인보우보보틱스와 함께 대전에서 50여 명이 모여 S&R 휴머노이드팀을 본격 가동중인 것으로 알려 졌습니다.
1.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최초 휴머노이드 '휴보'를 만든 연구진이 만든 회사입니다. 주요 로봇 부품부터 협동 로봇, 자율주행 로봇 등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회사는 국내에서 휴머노이드 선두 개발회사인데도 불구하고 사업성 부족으로 20여 년간 별다른 진전이 없었습니다.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에 일부 지분을 인수하더니 2023년에는 최대 주주로 올라 섰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주가는 2023년 3월 17,000원대에서 2024년 3월에는 1차 고점인 20만원에 까지 상승하다가 2025년 2월에는 429,000원(2년간 25배 상승)에 까지 상승하였습니다. 2025년 4월 9일 현재 247,500원(15배 상승)입니다.
2. 휴머노이드 개발 본격 추진
최근 테슬라 등 빅테크 업체들의 휴머노이드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면서 레인보우도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레인보우는 2024년 이동형 양팔로봇 RB-Y1을 공개하면서 휴머노이드 개발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
2024년 설립된 삼성전자의 미래로봇사업단의 오준호 단장은 2025년2월 강연에서 "한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이 앞으로 2~3년 내에 글로벌 Top-tier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고 했습니다.
삼성전자는 로모틱스 사업의 첫 걸음으로 가정용 AI 로봇인 '볼리(Bollie)'를 2025년 상반기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볼리는 삼성전자의 스마트띵스와 연동해 가정내 기기들을 연결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삼성전자 경쟁사인 LG전자도 최근 실리콘밸리의 상업용 자율주행 로봇기업인 베어로모틱스를 인수하고 로봇시장이 진출하였습니다. LG 전자는 베어로보틱스를 통해 '클로이'를 비롯한 로못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현대자동차가 2021년 소프트뱅크로부터 로봇개발업체인 보스톤 다이나믹스를 인수해 로봇 사업을 추진 중에 있고, 최근 SK도 코스닥업체인 유일로보틱스를 인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3. 결
로봇 사업은 30년 전부터 삼성전자의 신수종 사업으로 추진되어 왔습니다만, 남이 성공할 것 같은 가능성이 보일 때에야 비로소 사업에 착수하는 삼성의 성격상 이번에도 좀 늦은 감이 있습니다.
기업에서 전략이란 'First'이거나 'Best'를 말합니다. First에는 그 만큼 위험이 따릅니다. 우리 기업도 First가 많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