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삼성/KB/한화자산운용 2025.4.15. 동시 출시 휴머노이드 ETF 투자 분석

by 선라이저 2025. 4. 15.
728x90
반응형

  삼성자산운용, KB자산운용, 한화자산운용 등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2025년 4월 15일 동시에 휴머노이드 ETF를 신규로 출시하였습니다. 

 

 차세대 AI로 Physical AI, 즉 로봇이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에 투자하는 ETF는 큰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만약 제가 이들 ETF에 투자를 한다면 어떻게 선택할지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습니다. 

 

1. 3개사 ETF 비교 

 

  삼성자산운용에서 출시한 'KODEX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은 미국의 휴머노이드 및 부품사, S/W 개발 기업과 그에 투자하는 기업을 키워드 방식으로 선정 후, 휴머노이드 관련도를 반영한 조정 시총 가중으로 투자하는 패시브 ETF입니다.  

 

  로봇 상용화를 추진 중인 테슬라(15%)와 AI 플랫폼, 칩셋을 공급하는 엔비디아(15%), 물류자동화에 강점을 가진 아마존(15%)의 포트폴리오 내 비중이 높고, 기타 미국내 휴머노이드 로봇 사업을 주도하는 20개 종목이 포함됩니다. 

 

  KB자산운용에서 출시한 'RISE 미국 휴머노이드 로못'은 미국 휴머노이드 관련 기업들을 3개 카타고리(H/W, S/W, 로봇 응용기업)으로 분류, 카타고리별 키워드 점수 상위종목을 키워드 점수 가중으로 투자하는 패시브 ETF로 종목은 18개입니다.

 

  한화자산운용에서 출시한 'PLUS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못 액티브'는 삼성과 KB의 두 상품이 미국에 집중한 것과는 달리 미국 및 한국, 일본, 유럽의 휴머노이드 로봇 및 부품(구동기, 센서) 관련 기업들에 투자하는 액티브 ETF입니다.

 

  테슬라(20%), 레인보우로보틱스(10%) 같은 대표적인 로봇 기업 뿐만 아니라 산업 성장에 따른 수혜를 받는 액추에이터, 센서 등 핵심 소부장 강소기업까지 27개 종목을 함께 답습니다.

 

 3개 ETF의 총보수는 삼성과 한화가 0.45%이며 KB가 0.4%입니다. 3가지 상품 모두 개인연금이 100%, 퇴직연금이 70% 투자가 가능합니다. 

 

2. 3개 ETF가 제시하는 투자 포인트

 

 1) 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ETF (0038A0)

 

  Physical AI로의 성장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은  Physical AI의 종착점이 될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휴머로이드 로봇의 최대 장점은 '범용성'으로 단일 디자인으로 여러 용도, 다양한 환경에 대한 높은 대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휴머노이드 시장이 향후 10년간 약 27배로 커질 전망인 가운데, 해당 산업의 주도권은 아직 미국이 잡고 있습니다. 미국은 AI 기술력 및 적극적인 투자로 산업 성장의 핵심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ETF의 포트폴리오는 테슬라와 엔비디아 등이 이끄는 미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주도력을 확인할 수 있는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KB자산운용, RISE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ETF (0036R0)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건비 상승, 저출산, 고령화라는 장기 트렌드에  부합한 산업으로 스마트폰 혁명에 이은 인류의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전망됩니다. 

 

 해당 산업의 패권은 미국과 중국으로 양분되어 있는데, 그 중 미국은 2025년까지약 3조달러로 성장해 휴머노이드 로봇 수는 6,3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미국 직업의 75%가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대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아직 성장 초기 단계인 만큼, 산업 전반의 성장 수혜를 누리기 위해 키워드 연관도 방식으로 종목을 선정하였습니다. 인지(H/W), 판단(S/W), 구동(애플리케이션) 등 휴머노이드 산업의 밸류체인 전반에서 수혜가능 종목들을 선별하였습니다. 

 

3) 한화자산운용, PLUS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ETF (0035T0)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완성기업에 30%, 핵심 소부장 기업에는 70%를 분산투자하였습니다. 즉 테슬라, 레인보우 같은 휴머노이드 완성 기업뿐만 아니라 산업 성장의 과실을 함께 누릴 수 있는 엑츄에이터, 센서 등 핵심 소부장 기업까지 함께 담되 미국 및 미국 우방 국가들의 상장기업들에 함께 투자하였습니다. 

 

휴머노이드
휴머노이드

 

 

3. 결

 

 

 AI가 Physical AI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휴머노이드 로봇 ETF가 출시되었습니다. 

 

  제가 이들 ETF에 투자한다면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ETF'를 Topic으로 해서 KB자산운용의 'RISE 미국 휴머노이드 로봇 ETF'는 차선으로 고려해 볼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