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리 경제의 ABC는 '한은의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에서 배웠습니다

by 선라이저 2025. 3. 20.
728x90
반응형

  한국은행의 유튜브가 2025년 2월 10만명을 돌파해 실버 버튼을 받았습니다. 이 유튜브의 핵심 내용은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입니다.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은 제가 그 동안 경제를 보는 눈을 키워온 기본서입니다. 

 

1. 한국은행의 유튜브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의 유튜브 채널은 커뮤니케이션국이 2013년 개설 후 2020년부터 본격적인 게시물을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이 채널의 게시물은 2020년 108개에서 2021년 159개, 2022년 168개, 2023년 175개, 2024년 187개로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구독자 수도 2020년 말 25,000명에서 2021년 말 42,000명, 2022년 말 54,000명, 2023년 말 65,000명, 2024년 말 88,000명이었고 2025년 2월에 10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유튜브 채널에는 한은의 보고서를 소개하는 'BOK 정책 브리핑'을 비롯해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 '일상생활속 지급 결제 이야기' 등이 시리즈로 있습니다. 

 

 한은은 '시끄러운 한은을 만들자'는 이창용 총재의 대국민 소통 강화 기조에 따라 유튜브 외에 다른 SNS도 활성화 중입니다. 페북 팔로워는 55,000명, 인스타그램이 27,000명, 카카오스토리 12,000명, X(옛 트위트) 6,000명 등입니다.

 

2.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

 

 저는 회사에서 신입사원이 되자마자 매월 100명이 넘는 임원과 팀장에게 제공하는 '월간 경영정보' 발간이라는 일을 맡았고 그 속에 경영 이슈를 분석하는 것과 함께 '국내외 경제동향과 전망'을 작성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런데 적합한 실용 교재가 없었습니다. 실패를 하여 첫 호를 패기한 쓰라린 경험이 있습니다.

 

  한 줄기 오아시스로 찾아낸 것이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이었습니다. 이 책은 경영학을 공부한 저에게 실제 경제지표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치즈를 만들려면 우유가 필요하듯이 경제도 단단한 기초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한은이 국민들의 경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발간되는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은 최근에는 2010년, 2014년, 2019년, 2023년에 최신 판이 나왔습니다. 여기에는 GDP(분기별 발표), 경기, 고용, 임금, 금리, 물가, 환율 등 우리가 경제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내용이 호수처럼 펼쳐져 있습니다.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2023년 판) 목차

 

1. 실물, 고용 및 기업경영지표

 

 1) GDP

 

 명목 GDP와 실질 GDP

 국민소득 삼면등가의 법칙

 국민소득 주요지표

 국민소득 통계의 당야한 경제분석 지표

 

 2) 산업연관표

 

 3) 국민대차대조표

 

 4) 경기판단지표

 

 5) 고용, 임금 통계

 

6) 기업경영분석지표

 

2. 금융, 물가 및 재정지표

 

 7) 자금순환표

 

 8) 통화지표

 

 9) 금리지표

 

 10) 물가지수

 

 11) 증권시장 지표

 

 12) 재정 통계

 

3. 대외거래 지표

 

13) 국제수지표

 

 14) 국제투자 대조표

 

 15) 무역수지 및 교역조건 지수

 

 16) 환율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

 

 3. 결

 

  원래 한은의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 유튜브는 EBS가 한은과 같이 알기 쉬운 경제지표 해설 책자를 기반으로 기초편을 공동 제작하는데서 출발하였습니다. 기초편은 GDP를 시작으로 물가, 금리, 화폐와 중앙은행, 주가, 환율 등 10가지 주제를 다루었습니다. 

 

 컨텐츠는 한국은행 유튜브 채널에 공개 후에 EBS의 유튜브인 EBS Culure 채널(EBS 교양, 구독자 268만명)에도 업로드되었습니다. 

 

 '알기쉬운 경제지표 해설'은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바로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책자로 구입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저의 구독자 분이라면 생물처럼 매일 변화하는 국내외 경제를 보는 눈을 키우는 경제지식의 도구로 적극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