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우주 개발의 역사 (1) - 왜 우주 개발인가

by 선라이저 2024. 12. 9.
728x90
반응형

  일론 머스크라는 스페이스 X의 경영자가 우주 개발에 적극 나섬에 따라 미국과 중국의 우주 개발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습니다. 우주 개발의 역사라는 주제로 8회에 결쳐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왜 우주 개발인가

 

  미국의 천문학자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행성탐사 계획에 실험연구원으로 일했으며 캘리포니아에서 우주 생명체와의 교신을 시도했고 코스모스라는 베스트셀러를 출간하기도 했던 던 칼 세이건은 인류의 생존이 경각에 달했을 때 다른 세계를 탐험하는 것은 우리의 기본적 의무이다고 했다.

 

  또한 미국의 공상과학 소설 작가인 래리 리븐은 공룡이 멸종한 것은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지 않아서 멸종한다면, 그것은 인과응보다라고 했다.

 

2. 우주공간이란

 

  우주공간은 대체로 지상 100km 높이 너머를 말한다. 우주 개발은 강력한 로켓으로 중력을 뚫고 유인 또는 무인의 인공위성을 지구 대기권 밖의 지구 궤도로 올리거나, 우주선이 지구 중력권을 벗어나 천체를 직접 탐사하고 천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을 말한다.

 

 

무중력의 우주 비행사
무중력의 우주 비행사

 

 

 

 

3. 결

 

 

  1957년 소련이 스푸트니크 인공위성을 쏘아올리고 1961년 유리 가가린을 궤도에 처음으로 올려 놓으면서 미국에 경쟁을 부추겼고,  1969년 미국이 아폴로 11호를 달에 착륙시키면서 미국과 소련간 우주개발 경쟁이 본격화되었다.

 

  그동안 우주개발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고 우주는 인류의 미래를 밝혀줄 희망의 장이 되고 있다.

 

  2024년 12월 현재 시점에서의 1) 우주 개발의 초기 단계, 2) 2차 대전 이후 우주 개발의 본격화, 3) 아폴로 11호와 달 탐사, 4) 우주정거장과 국제협력, 5) 우주 탐사의 상업화, 6) 현대 우주 개발의 이정표, 7) 한국의 우주개발 현황을 차례로 알아 보고자 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