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전세계 국가들에 각 국가별로 2024년도 미국의 무역적자에 기준한 차등관세를 부과한 후 하루 만에 중국 외의 국가들에 대해서는 90일 관세 유예를 전격 발표했습니다. 이는 일부에서 미국 국채를 계속적으로 매도해 국채 이자률이 올라가자 트럼프도 위기감을 느낀 것으로 보입니다.
유튜브에서 알려진 설명왕 테이버의 2025년 4월 11일 아침 방송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1. 트럼프의 관세 유예 이후 미국경제
이제는 미국의 경기침체냐 인플레이션이냐의 싸움인데,
1) 지표는 미국의 경기침체를 이야기할 수 있다. (초과 발주, 초과 재고)
2)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감소하고 있다.
3) 중국산 제품들에 대한 관세는 125%이다.
4)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의 25% 관세는여전히 유효하다.
5) 의약품, 반도체, 목재, 구리의 추가 관세가 예정되어 있다.
2. 어제 있었던 해프닝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들
1) 골드만삭스가 미국의 경기침체 확률을 40%에서 65%로 발표
2) 중국 외 국가별 관세 유예 발표
3) 골드만삭스가 경기침체 확률을 다시 40%로 발표. 이는 경기침체인지 인플레이션인지 여전히 아무도 모른다는 상태이다.
어젯밤 미국 증시는 10%가 넘는 폭등을 기록했다. 하지만 초과 재고는 어떻게 할 것인가?
여전히 풋옵션 시장의 인기가 상당한 모습이다. 앞으로 나올 경제지표는 결국 '충격'을 전해 줄 것이고, 이것은 어떤 방식으로 시장이 소화하느냐가 중요한 부분이다.
3. 결
미국 경제는 2025년 1/4분기 성장율이 마이너스인 것은 확정적인데, 2/4분기 Data는 1/4분기의 수입 감소, 소비 감소의 영향 속에서도 플러스가 될 것인가가 관건이다.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는 경기침체이기 때문이다.
오늘 아침은 환하게 웃으면서 주식시장을 볼 수 있는하루입니다.
지난 한 주간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앞으로도 생존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