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JP 모건, KOSPI가 지배구조 개혁 탄력 시 2년 내 5000 포인트 전망

by 선라이저 2025. 7. 12.
728x90
반응형

  국내 코스피가 바닥을 치고 올라가는 중에 2025년 7월 11일 미국계 투자은행JP 모건이 한국의 기업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이 탄력을 받을 경우 향후 2년 간 코스피 지수가 50% 이상(5000 포인트)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을 최초로 제시했다.

 

1. JP 모건의 전망



  2025년 7월 11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JP 모건은 이 날 보고서에서 "한국은 아시아 및 신흥국 중 핵심비중 확대(overweight) 시장으로 유지되고 있다"면서 2025년 32% 상승하며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코스피 지수가 향후 약 5,000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러한 전망은 이재명 대통령의 거버넌스(지배구조) 개혁 추진 방침과 임기 동안 '코스피 5,000'을 달성하겠다는 공약 등에 따라 JP모건이 한국 주식에 대한 투자 의견을 '중립'에서 '비중 확대'로 상향한 데 따른 것이다.

  JP 모건은 "개혁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한 시장 변동성이 나타날 때마다 추가 매수를 권한다"며 "관세 우려, 성장 둔화, 채권시장 변동 등 글로벌·지역 증시 변동은 빠르게 매수세를 불러올 수 있다"고 전했다. JP 모건은 그러면서 올해 남은 기간 코스피가 3,200~3,500선에서 거래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다만, JP모건은 "아이러니하게도 최근 외국인 매수세는 2024년 초에 비해 훨씬 약하다"며 "글로벌 투자자들이 보이는 관심을 고려하면 이는 더 좋은 진입 시점을 찾기 위한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2. 한국의 브랜드와 기업의 지배구조

 

 

  그 동안 한국 기업들에 대한 외국인들의 코리아 디스카운트(브랜드 이미지)는 주로 대기업들의 거버넌스(지배구조) 불투명에 의한 바가 많다. 유가만 해도 사우디 아라비아가 한국에 일본에는 없는 배럴당 1~1.5달러가 추가되는 아시안 프리미엄(Asian Premium)을 추가하는 것이 이러한 기업과 정부 규제의 불투명성 때문이다. 

 

  한국의 브랜드 이미지를 선진국 수준으로 업그레이드시키려면 반드시 '지배구조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 지금까지 상장 또는 유상증자, 물적/인적 분할 시 보여준 후진적인 불투명한 절차들이 우리 시장을 저평가시켰다고 본다. 이 때문에 혜택을 보는 사람들은 대주주 등 소수이고 다수가 손해를 보아 왔다.

 

  이번 기회에 지배구조 개혁을 통해 우리도 외국인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키고 선진국 수준으로 코스피를 올려야 한다. 지배구조 개혁은 다른 말로 재벌 개혁이라 수 십년간 정부가 시도하다가 도중에 하차해 온 투명성을 다루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국내 대기업의 지배구조 투명성
국내 대기업의 지배구조 투명성

 

3. 결

 

 

  코스피가 S&P 500이나 NASDAQ 100 등 미국 주식시장과 차별하게 10년 넘게 바닥을 기어왔다. 이번이야 말로 각종 거버넌스 불투명성을 과감히 없애고 코스피 5000이 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