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4 서울 서베이 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고

by 선라이저 2025. 4. 10.
728x90
반응형

  '2024 서울 서베이 조사 결과 보고서'가 공개되었습니다.

 

  저는 신문에서 이 기사를 접하고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에 들어가 찬찬히 항목 하나하나를 살펴 보았습니다. 그 중에서 우리 생활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지표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서울시 가구 조사

 

 서울시에서 2024년 자가는 43.4%, 월세는 30.1%, 전세는 25.7%로 5년 전과 비교해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저는 전세가 줄어들고 월세가 증가하지 않았나 했는데 변동이 없었습니다. 자가는 가구주들이 월 800만원 이상에서 크게 증가하고 월세는 400만원 미만에서 증가하였습니다. 

 

 가구원 수는 2.12명이며 1인 가구는 39.3%였습니다. 1인 가구는 증가세로 평균 8년 정도 혼자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월 평균 가구 소득은 300~400만원 미만이 19.9%이고, 400만원 이상은 55.2%였습니다. 월 평균 근로소득은 300만원 미만이 38.8%, 300~400만원 미만이 34.5%, 400만원 이상은 26.7%를 차지했습니다.

 

 직업이 있는 서울시민의 고용형태는 상용직 임금 근로자가 68.9%, 임시/일용직 임금 근로자는 15.2%, 자영업자는 14.3%였습니다. 자영업자의 비율은 40대 8.2%, 50대 18.4%, 60대 이상은 33.8%로 증가했습니다. 

 

 서울시 가구의 부채비율은 42.5%였고, 부채의 주된 요인은 거주주택 마련이 38.4%, 전(월)세 보증금 마련이 36.9%, 부채 상환이 7.0% 순서였습니다. 연령별로는 가구주가 40대에서 가장 높고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고 학력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가구별 부채는 2023년과 비교해 연령별로는 30대(46.7%에서 56.2%), 주거 형태에서는 월세(30.1%에서 40.1%)에서 부채비율 상승이 크게 나타났습니다. 

 

2. 서울시민 노후 생활 자금 준비

 

  2024년 노후생활 자금 준비율은 67.6%로 전년도의 63.4%에 보다 4.2%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령별 노후자금 마련 유형으로는 10대와 6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국민연금, 공무원/사립교원 연금, 군인연금 등 공적 연금의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 20대 74.5%, 30대 79.1%, 40대 75.1%, 50대 69.4%였습니다. 

 

 10대에서는 보험이 59.3%(공적 연금은 58.4%), 60대 이상에서는 은행 저축이 60.0%(공적 연금은 57.0%)로 공적 연금보다 더 높았습니다. 

 

  제가 조금 놀란 것은 개인연금이 10대 17.0%, 20대 23.2%, 30대 26.6%, 40대 31.9%, 50대 30.5%, 60대 이상 23.2%를 차지하고 있어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낮았습니다. 회사에서 보조를 받아 개인연금을 넣는 외에는 거의 개인연금을 노후 생활 자금의 수단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연령별 노후 자금 준비율은 20대 42.5%, 30대 79.8%, 40대 87%, 50대 86%, 60대 이상 63.5%였습니다. 60대 이상에서 노후 준비가 크게 미흡합니다. 

 

검색한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검색한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

 

 

3. 서울의 랜드마크

 

  서울의 랜드마크로 서울시민은 한강을 50.1%로 가장 높게 보고 있으며, 고궁(36.6%), 광화문(광장) (36.4%), 롯데월드타워(14.9%), N서울타워(14.9%), 청계천(9.1%), 시청앞 광장(8.4%), 남대문(5.9%), 동대문(5.2%)의 순서였습니다.

 

   한편 외국인들은 서울의 랜드마크로 광화문(광장)을 48.4%로 가장 많이 뽑았으며, 한강(23.8%). 동대문(23.5%), 시청앞 광장(20.6%), 청계천(18.1%), 남대문(13.7%), N서울타워(10.2%), 롯데월드타워(4.6%)의 순서였습니다. 

 

 

 

 * 2024 서울 서베이 결과 보고서는 직접 다운을 받으려면 용량이 33MB 정도입니다.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을 검색하시면 됩니다. 

 

 

 *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는 카카오에 '티스토리 크리에이터 현황'을 질문하니 지금은 추가로 선발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크리에이터는 유튜브의 슈퍼챗 같은 응원금을 받을 수 있으며, 전체 홈페이지에도 노출이 쉬워 홈페이지를 찾아오는 구독자의 확대에도 도움이 됩니다. 물론 크리에이터가 되려면 전문가 다운 글을 많이 써야 겠지요. 

 

 어제 올린 카카오와 네이버의 정책도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

 

2025.04.09-네이버와 카카오의 AI 전략 비교

 

  새로운 블로그 들의 꿈인 크리에이터가 다시 추가될 수 있도록 여러분들도 카카오에 다시 크리에이터를 확대해 달라고 블로거들이 힘을 모았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