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합리한 수능제도 : 사회탐구 선택자 중 경제는 3.2% 뿐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범 교육평론자가 제기하는 우리의 수능 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1. 수능의 선택과목 상대평가 적용 대입 수능성적표에는 국영수가 각 100점, 선택과목은 각 50점인데, 과목별로 몇 점을 받았는지는 나오지 않습니다. 대신 2005년부터 석차등급, 표준점수, 백분의 등의 3가지 상대평가 지표가 적힙니다. 석차등급은 상위 4%까지는 1등급, 11%까지는 2등급, 23%까지는 3등급...이런 식으로 9등급까지 매겨 집니다. 유사하게 우리나라 주요 대기업들의 팀별, 개인별 연간 성과표도 200년대 중반부터 상대평가로 대략 S, A가 20%, B가 30%, C가 40%, D가 10% 하는 식으로 주어집니다. 수능에서 왜 원점수가 없어졌을까요? 2005년 당시 선택과목이 대거 도입..
2022. 12. 3.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