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녹차2

글 어떻게 쓰고 무엇을 쓸 것인가(5) - 공광규 시인의 '차와 찻집' 경험 쓰기 지난 번 공광규 시인의 시 창작을 위한 제재 선정에서 '여행 경험'에 이어 '차와 찻집 경험'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차의 역사  우리는 사람을 만나는 장소로 찻집(카페)를 이용합니다. 지금 무교동 옆에 있는 다동이라는 행정구역은 궁정에 차를 들여다 보내는 다방이 있던 다방골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고려 때는 차의 사용이 늘어났는데, 궁정에는 다방이라고 하는 차를 공급하는 관청이 있었습니다. 차는 고려시대에 귀족과 승려 같은 상류층에서 애호되었고 조선시대까지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차의 풍속은 상류층 선비들에게서 모습을 감추기 시작했고, 절의 승려사회에서만 이어져 왔습니다.   임진왜란 때 남원에 주둔했던 명나라 장수 양호는 남원에서 나는 작설차를 마셔보고, 그 우수함에 놀라 선조에게 두 봉지를 바치.. 2025. 2. 21.
봄철 점심 후에 다가오는 춘곤증을 예방하려면 따뜻한 봄날 점심 후에 어김없이 찾아오는 것이 춘곤증입니다. 우리안양 5월호에 실린 중화한방병원 안대종 원장의 '봄철 불청객 춘곤증' 글을 발췌하여 나눕니다. 1. 춘곤증의 원인과 그 증상 춘곤증은 봄이 오면 피곤한 증상을 말하는데 충분한 수면을 취했음에도 졸음이 쏟아져 내리고 식욕이 감소하며 몸이 나른해져서 일상에 의욕을 잃고 쉽게 짜증이 나는 현상입니다. 봄이 오면 산과 들의 식물이나 다른 동물의 움직임과 마찬가지로 인체 내 여러 작용이 왕성해지기 때문에 인체 신진대사와 피로 제거물질 제거를 담당하는 간 기능에 부담을 주어 몸이 나른하고 졸리며 피곤하게 됩니다. 춘곤증의 증상은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는데, 대표적인 증상이 나른함, 피로감, 졸음, 식욕부진, 소화불량, 현기증 등이 있습니다. 2.. 2023. 5.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