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징비록2

임진왜란과 부산 앞바다 2025년 5월 18일 아침 부산에서 고교/대학 동창인 J군이 글을 보내 왔다. J군은 항공기 엔진 엔지니어로 삼성에어로스페이스에서 퇴직을 했다. 그의 글을 읽으면서 큰 울림이 있어 같이 나눈다. 1. 부산 앞바다 요트 여행부산 앞 바다에서 요트를 탔다. 파도가 좀 높았고 배 흔들림도 있었다. 배를 타고 전쟁을 했던 그 때가 생각났다...부끄러움과 반성의 기록이들은 양력으로 5월 23일 부산 앞바다로 몰려왔다. 1592년 4월 13일(음력) 임진왜란의 시작이다. 그 날의 일을 [선조실록]은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적의 배가 바다를 덮으며 몰려왔다. 부산 첨사 정발은 그때 절영도에서 사냥을 하고 있었는데, 조공하러 오는 일본배라고만 생각하고 대비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가 진陣으로 돌아오기도 전에 적은 이.. 2025. 5. 18.
진주성이 2차 공격에서 무너진 이유 - 포루의 공사 문제 징비록을 다시 읽으면서 떠오른 의문을 하나씩 풀고 있습니다. 진주성이 2차 공격에서 무너진 이유를 류승룡은 포루의 공사문제에서 찾고 있습니다. 1. 성을 굳게 지키는 묘법 성이라는 것은 마땅히 견고해야 합니다. 1592년 9월 9일 왜군이 평양성에 있었을 때 나는 평양 근처 안주에 있었고 문득 한가지 계책을 떠올렸는데 "성밖에 형세에 따라 뽀족한 성을 쌓고 그 전면과 좌우에 대포 구멍을 내어 대포를 쏠 수 있도록 하면 적은 감히 공격하지 못할 것입니다.". 이것을 나는 임란 후에 여러 경연에서도 말을 꺼냈었습니다. 1596년 한양 동쪽 수문 밖에 이를 만들려다 완성하지 못하였는데, 이론이 분분하여 그만두고 만들지 못하였습니다. 2. 진주성 포루의 공사 문제 내가 안주(평양 부근)에 있었을 때 벗인 김사순.. 2022. 11.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