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네이버3 Physical AI가 한국의 AI 혁신을 주도한다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시대를 연 네이버와 카카오가 한 동안 바닥을 기다가 다시 혁신을 위해 꿈틀대고 있다. 자세히 알아 보았다. 1. 소버린 AI 우리나라 혁신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내수 기업처럼 되버린 지 오래다. 하지만 네이버는 쇼핑에서 힘을 내기 시작해 2024년말부터 월간 체류시간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카카오도 오픈 AI와 제휴해 AI를 다시 되살리고 있다. 이러한 중에 신정부 청와대 AI 수석에 네이버 AI 랩 소장 출신 최연소 수석의 하정우 소장이 임명되었다. 그는 100조원을 들여 민간과 정부가 합작으로 AI 데이터센터 투자를 한다고 한다. iM증권의 "Physical AI, 혁신을 주도하다" 보고서에 의하면, AI에 의한 경제력, 군사력, 기술력, 문화력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2025. 6. 21. 네이버와 카카오의 AI 전략 비교 Chat GPT가 등장한 이후 AI가 급속도로 확산되었고 최근에는 중국 딥 시크의 출현으로 값싼 비용으로 LLM이 가능해지는 등에 따라 그동안 침묵해 왔던 네이버와 카카오는 다시 다른 AI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랫 동안 바닥을 기어왔던 이들 기업의 주가도 얼마전부터는 상승 움직임을 보이기도 했다. 마침 2025년 4월 9일 다올증권에서 네이버와 카카오의 AI 전략을 비교한 "AI 에이전트 : 주인님 제가 일할께요" 리포트가 나왔다. 두 기업의 AI 전략을 비교해 보았다. 1. 세계 각 기업의 AI 전략 변화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플랫폼 기업 가치는 이용자 수와 이용자들이 플랫폼에 머무르는 시간에 비례한다. 그래서 이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이용자가 즐길 수 있는 컨텐츠의 제공이 경쟁력.. 2025. 4. 9. AI 딥시크 돌풍 속 네이버와 카카오의 AI 행보 2025년 1월 20일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에 발맞춰 중국의 딥시크 R1이 나온 이후 미국 Open AI CEO가 방한하여 여러 국내 기업을 방문하는 등 AI 주도권 전쟁이 불붙고 있습니다. 딥시크 돌풍의 내용과 국내에서 치열한 IT기업 경쟁자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AI 행보를 알아 보았습니다. 1. Deepseek 돌풍 국내에서 AI 연구에 저명한 강정수 블루닷 AI연구센터장(전 대통령 디지털소통센터장)은 다음과 같이 인터뷰에 답했다. "딥시크는 트럼프 취임일에 R1 모델을 공개했다. 중국에서 무명 스타트업이었던 딥시크가 만든 R1은 한국어를 포함해 52개 언어를 지원한다. 딥시크는 기술문서를 공개했고 다른 기업들이 이를 수정해 활용하기도 쉬워졌다. 중국내 공대를 졸업한 20대의 엔지니어들이.. 2025. 2. 10.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