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2 축성 측면에서 살펴본 진주성 전투 안녕하세요. 저는 우리나라 축성에 관심이 있었고 '한국의 성곽'이라는 책에서 진주성 전투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습니다. 1. 조선 후기의 축성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 일본의 심상치 않은 동정에 조정에서는 비로소 일본을 경계하기 시작하였고, 남쪽 3도의 방비를 서둘렀습니다. 경상, 전라, 충청 감사를 그 지방 사정에 밝은 사람으로 뽑아 보내어 병기를 준비하고 축성을 하게 하였는데 그 가운데에서 경상도에 성을 많이 쌓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랜 평화 생활에 젖은 백성들은 노역을 꺼려하여 지금같이 태평한 시절에 성을 쌓는 일은 당치도 않은 일이라고 원망하는 소리가 높았습니다. 경상감사 김수는 성을 쌓는 일에 힘을 기울여 가장 많은 성을 쌓았으나, 험준한 위치를 선정하지 않고 평지에 쌓았으며 또 규모.. 2022. 11. 28. 유성룡의 징비록 (1) - 신립장군 몇 년전 경상도에서 충청도로 들어오는 경계인 문경새재를 제3관문부터 제1 관문까지를 걸어서 넘으면서 왜 임진왜란때 신립장군이 조령을 지키지 않았는지 의문을 가진 적이 있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후퇴하는 선조와 함께 하였던 유성룡의 징비록 속에 그 해답이 있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신립 장군의 사람됨 : 장수로서 자질 부족 임진왜란 직전 1592년 봄 선조는 신립과 이일을 보내어 변방의 군비 상태를 살펴보게 하였습니다. 이일은 충청도와 전라도로 가고, 신립은 경기도, 황해도가 갔다가 한 달이 지나 돌아왔습니다. 점검한 것은 활과 화살, 창, 칼 따위 뿐이었고 군현에서는 모두들 형식만 갖춘 것을 가지고 법망을 피하며, 달리 방어에 대한 좋은 계책을 마련한 것이 없었습니다. 신립은 평소에 잔인하고 포악하다는.. 2022. 10.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