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60 미장은 국장보다 왜 잘 나가나 (왜 미장에 다들 투자하나) 미국 주식시장과 국내 주식시장의 가장 큰 차이는 뭘까? 왜 미장만 중장기적으로 우상향으로 잘 올라갈까? 1. 한국의 자본주의 우리나라의 재벌 대기업들은 상당수가 60~70년대 정경유착으로 불하를 받아 대기업이 시작되었다. 일종의 재벌 밀어주기였다. 재벌 기업들은 순환출자방식으로 수십개의 계열사를 두는 문어발식 확장을 계속했다. 1997년 IMF 위기로 대우를 비롯한 많은 대기업들이 대미불사의 순환출자가 무너졌다. 2000년대 들어 지주사법이 등장해 지주회사 제도가 도입되었다. 자회사 IPO 방식을 통해 많은 기업들이 공개되었다. 중간 지주회사나 자회사의 상장 등을 통해 모회사나 중간 지주회사의 기업가치가 희석되었다. 최근 들어서는 국내 굴지의 대기업이나 IT 기업들도 자금조달을 위해 인적 .. 2025. 11. 25. 돈의 대폭발 시대에 생존법은 (미국 주식시장과 서울 아파트를 선호하는 이유) 2008년 미국에서 리먼 사태와 2020년 코로나 사태를 겪은 후 세계 각국은 빚을 내어 국채 발행 등으로 재정지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이에 돈(총통화)이 대폭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해야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1. 한국의 총통화(M2) 추이 분석 한국은행은 1986년부터 총통화(M2)를 집계해 왔습니다. 한국의 M2는 1986년 48조원에서 2024년 4,045조원까지 38년간 84배로 증가했습니다. 2025년 8월 기준 총통화는 4,400조원입니다. GDP 2,200조원의 2배입니다. 최근 5년간 연평균 260조원씩 증가했습니다. 총통화의 증가속도가 너무 빠릅니다. 시중에 돈의 유동성이 넘쳐 납니다. 실물경기가 안 좋아도 금융은 활발하게 돌아갈 수 있습니다. M1은 .. 2025. 11. 25. 적립식 투자자 vs 가치투자자 2025년 11월 24일 새로 나온 이주택 미국 럿거스 로스쿨 교수의 '부자 아빠의 행복 철학' 책을 예약으로 발행 하루 전에 구입했다. 2025년 7월 15일 나온 '아들아, 미국 주식 이렇게 하지 마라' 와 같은 저자이다. 유튜브에 매일 밤 10시 반에 '반교수의 미국 투자 이야기(미투리)'를 보고 있는데 그가 평소에 말한 것과 책의 내용을 종합하여 적립식 투자자와 가치투자자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적립식 투자자 적립식 투자자는 주린이들에게 가장 좋은 장기 투자인데, 직장 생활을 하고 있어 나에게 매월 돈이 계속 들어온다는 것을 가정한다. 매월 급여의 일부를 적립식으로 저축하는 습관이다. 주로 여러 종목으로 구성된 ETF에 투자를 하는데 보통 SPY나 VOO 처럼 미국 S&P 500 투자.. 2025. 11. 23. 2025년 11월 원달러 환율이 1,500원을 향해 파죽지세인 이유는 2025년 11월 11일 원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8원이 올라 1,464.80원입니다. 1,500원이 얼마남지 않았습니다. 앞으로 환율은 어떻게 될까요? 1.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 요인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국내 요인으로는 먼저 달러 수요와 공급을 들 수 있습니다. 국내에 들어오는 달러는 2025년 경상수지 흑자가 830억달러입니다. 이에 반해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개인투자자들이 2025년 770억달러입니다. 2025년 10월 한 달간 68억달러가 미국 주식에 투자되었습니다. 그 규모가 엄청납니다. 게다가 앞으로 미국에 연 200억달러씩 8년간 투자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한편에서는 환율이 이렇게 오르면 제2의 IMF가 오는 것이 아닌가 우려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 2025. 11. 11. 이전 1 2 3 4 ··· 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