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달 탐사5

일론 머스크, 2026년 말 화성으로 Starship(우주선) 출발 추진 미국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 X의 일론 머스크 CEO가 2026년 말에 화성으로 향하는 Starship(항성을 오가는 우주선) 로켓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2025년 3월 14일 밝혔습니다. 자세히 알아 보겠습니다. 1. 일론 머스크의 화성 탐사 계획  일론 머스크는 스페이스 X의 창립 23주년인 2025년 3월 14일 소셜미디어 X 게시물에서 "스타십이 2026년 말에 옵티머스를 태우고 화성으로 출발한다. 만약 이 때 착륙이 잘 된다면, 유인 착륙이 이르면 2029년에도 시작될 수 있다. 다만 2031년이 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언급했습니다.  옵티머스는 머스크가 CEO인 테슬라가 개발한 인간형 로봇으로, 2024년에 공개된 바 있습니다.      2. 스페이스 X의 도전  AFP통신에 따르면 화성탐사를.. 2025. 3. 15.
일론 머스크의 2030년대 화성에 인류가 사는 프로젝트는 실현될까 2024년 말 저는 한강역사문화포럼에서 '우주탐사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발표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 미국이 10년전 쏘아올린 화성탐사 위성 Curiosity호(탐사 도중에 로봇이 바위를 깨면서 황을 발견)와 최근에 쏘아올린 Perseverence호(탐사 헬기를 날림)의 1시간 탐사 영상은 큰 감동을 준 바 있습니다. (둘 다 유튜브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2025년 2월 20일 미국의 Bloomberg와 AFP는 "테슬라와 스페이스 X의 CEO인 일론 머스크가 미국의 우주탐사 계획의 최우선 과제로 '화성 탐사'를 내세우면서 NASA의 달 탐사와 국제우주정거장 운영 게획이 흔들리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상세한 내용을 알아 보았습니다. 1. 일론 머스크의 화성 탐사 계획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 2025. 2. 21.
우주 개발의 역사(8) - 한국의 우주 개발 역사 1. 한국의 우주 개발 역사•1960~1980년대 : 초기 우주 개발의 시작  1969년 미국과 협력하여 인공위성 발사 준비를 시작하였고,   1989년 자체 개발한 첫번째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 발사에 실패했다.•1990년대 : 독자적인 우주 프로그램 시작  1992년 우주개발 추진 정책을  수립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우주연구원(KARI)’  설립했다.  1999년 ‘우리별 1호’ 발사는 우주 위성을 한국 자체 발사한 첫 사례였다.• 2000년대 : 첫 번째 우주발사체 성공  2006년 러시아와 협력하여 ‘나로호’(KSLV-1) 발사 준비를 하였고,  2013년 나로호 발사에 성공하며 한국은 우주 발사체 기술을 획득했다.• 2010년대 : 국제 협력과 발전  여러 차례 우주 임무를 통해 독자 .. 2024. 12. 11.
우주 개발의 역사(7) - 현대 우주 개발의 주요 이정표 1. 화성 탐사 밤 하늘에 붉은 빛을 띄고 있는 화성이 특히 주목을 받는 이유는 태양계 행성 중 지구와 가장 비슷하기 때문이다. 지구 다음에 있는 화성의 공전주기는 687일이고 자전주기는 24시간 37분이다. 화성의 자전축이 지구와 마찬가지로 25도 기울어져 있어 지역에 따라 계절변화가 뚜렷이 나타난다. 화성은 과거 한 때 지구와 유사한 온난한 기후였다. 화성 표면의 최고온도는 적도에서 여름에 18도까지 올라가지만 평균은 –63도이고 대기는 옅은 이산화탄소로 되어 있어 산소를 만들 수 있다. 화성 표면 아래에는 얼음이 있어 필요한 기술을 발전시킨다면 물과 산소로 인간이 살 수도 있을 것이다. 테라포밍(Terraforming)은 지구화를 말하는데, 행성의 대기, 온도, 표면, 생태 등을 인위적으로 변화시켜.. 2024. 12. 1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