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미국 경제3 60대 대기업 기획팀 출신자들의 '국내외 경제를 보는 눈' 1990년대 대기업 기획팀 출신 60대 7명이 산책과 식사를 나누면서 5~6시간을 같이 보냈다. 살아가는 이야기를 허심탄회하게 나누었다. 이들 중에는 퇴직 후 회사의 대표를 하였거나 하고 있는 사람도 있다. 경제학을 전공한 사람도 3명이다. 우리들이 산책이나 식사를 하면서 국내외 경제와 관련된 주고 받은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A,B,C로 이름을 표시했다. 1. 미국 경제와 중국 경제 A : 미국 경제가 중국 경제가 따라 잡히는 것은 그리 멀지 않았다. 미국내 전직 관료도 인정했다. B : 아니다. 금융이 강한 미국이 관세전쟁에 이어 중국의 위협을 일본에게 했는 것처럼 제2플라자 합의 같은 환율 절상 등으로 제어할 것이다. C : 환율 절상은 현실상 실현하기가 쉽지 않다. 미국이 중국의 싼 맛에 취.. 2025. 5. 23. 트럼프의 중국 외 국가 관세 90일 유예와 그 이후 미국 경제 전망 트럼프가 전세계 국가들에 각 국가별로 2024년도 미국의 무역적자에 기준한 차등관세를 부과한 후 하루 만에 중국 외의 국가들에 대해서는 90일 관세 유예를 전격 발표했습니다. 이는 일부에서 미국 국채를 계속적으로 매도해 국채 이자률이 올라가자 트럼프도 위기감을 느낀 것으로 보입니다. 유튜브에서 알려진 설명왕 테이버의 2025년 4월 11일 아침 방송을 요약해 보았습니다. 1. 트럼프의 관세 유예 이후 미국경제 이제는 미국의 경기침체냐 인플레이션이냐의 싸움인데, 1) 지표는 미국의 경기침체를 이야기할 수 있다. (초과 발주, 초과 재고) 2) 기업들의 설비투자가 감소하고 있다. 3) 중국산 제품들에 대한 관세는 125%이다. 4)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의 25% 관세는여전히 .. 2025. 4. 10. 미국 경제의 2025년 침체 가능성 진단 미국 민주당 정부에서 재무장관이었던 레리 러머스는 2025년 3월 10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경기침체 가능성이 50%라고 주장했습니다. 2025년 초와 달리 갑자기 높아지고 있는 미국 경제의 침체 가능성을 진단해 보았습니다. 1. 레리 리머스의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 진단 레리 리머스는 2025년 1월만 해도 2025년 미국 경제에 경기침체가 올 가능성은 낮았지만 불과 2개월 만에 그 확률이 50%에 가까와졌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는 침체의 변수로 관세와 인플레를 제시했고 추가로 이민과 재정정책도 변수가 되고 있습니다. 2. 2022년 경기침체 전망 사례 분석 2022년 11월 말 미국의 경제학자들은 향후 1년내 경기침체가 올 확률을 45%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예상은 빗나갔.. 2025. 3. 30.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