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8 대한제국의 황궁 덕수궁 둘러보기 오늘은 조선의 5개 궁궐 중 서울시청 부근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이 용이하고 대한제국을 열었던 조선의 고종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진 덕수궁을 알아 보았습니다. 1. 덕수궁의 유래 덕수궁은 1897년 선포한 황제국인 대한제국의 황궁으로 본래 이름은 경운궁이었습니다. 원래 덕수궁 터에는 월산대군의 후손과 고관들의 저택이 있었습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의주로 피난 갔던 선조가 한양으로 돌아왔을 때 한양의 모든 궁궐은 불타고 없어져 선조는 월산대군 저택과 그 주변 민가를 여러 채 수용해 임시 행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광해군이 1611년 재건한 창덕궁으로 옮기면서 행궁은 별궁인 경운궁이 되었습니다. 이후 경운궁은 19세기 중엽까지는 궁궐로서의 큰 역할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고종이 아관파천을 하고 나.. 2023. 1. 18. 우회축적의 생존법 : 매의 사냥법과 공중전에서 적기 요격 방법 윤석철교수의 10년 주기 저서인 '삶의 정도' 책 속에서 매의 사냥법이자 전투기들의 공중전 요격 방법인 우회축적의 생존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1. 매의 사냥법 예로부터 매는 사냥을 잘 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냥을 잘하는 매의 지혜는 무엇일까?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작가 파울 하이제는 '매의 이론'이라는 것을 만들어냈습니다. 잔잔히 흐르던 물이 어느 지점에 와서 폭포수처럼 급강하 하듯이, 돌변하는 흐름법을 하이제는 '매의 이론'이라고 불렀습니다. 이 이론은 매가 먹이를 사냥할 때 소요되는 '시간의 최소화' 전략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사냥에 소요되는 시간의 최소화는 사냥의 성패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매는 수킬로미터 상공을 날면서 지상의 사냥감을 찾을 수 있는 좋은 눈을 가지고 .. 2023. 1. 17. 왜 한국 시장에는 중국 라면이 없는가 오늘은 농심 신라면의 탄생을 중심으로 한국 라면의 역사와 생존 부등식을 알아 보았습니다. 1. 왜 한국 시장에는 중국 라면이 없는가 1990년대부터 세계 제조업의 중심이 중국으로 이동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한국으로 (한국이 종주국인) 김치까지 수입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놀랍게도 한국 시장에서 중국 라면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라면은 기름에 튀긴 국수로, 중국에서 발원하여 일본을 거쳐 한국에 들어 왔습니다. 한국은 1963년에 일본으로부터 라면의 생산 기술을 도입했고, 그 후 1970년대 중반에 이르도록 쌀밥을 먹기 힘들었던 가난한 한국의 서민들은 라면을 애용했습니다. 그런데 현재 라면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동시에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나라, 중국의 라면이 한국 시장.. 2023. 1. 17. 미국 FOMC 2022년 8회 기준금리 인상과 시사점 오늘은 2022년에 미국 FOMC가 8회에 결쳐 금리를 인상한 결과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3년 들어 미국의 금리인상이 거의 정점에 다다른 가운데 이제는 경기침체로 시장의 관심이 전환되고 있어 그동안 유례없었던 2022년 금리인상 결과를 정리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변곡점이 될지도 모르는 현 시점에서 투자자가 투자 감각을 가지려면 깊고 길었던 2022년 FOMC 1년 금리인상 히스토리를 잘 보아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1. 미국 FOMC란 FOMC는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공개시장위원회)의 약자입니다.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산하 조직으로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 FOMC는 총 12명의 위원(연방준비제도위원회 이사 7명 + 지역 연방은행 총재 5명)으로 구성됩니.. 2023. 1. 16. 이전 1 ··· 163 164 165 166 167 168 169 ··· 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