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임진왜란4 부산 기장의 임진왜란/정유재란 흔적을 찾아서 지난 주말 제 티스토리 블로그가 구독자 수 500명이 되자 더 이상 신규 구독을 못 받게 되었습니다. 2차 하위 도메인을 만드는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오늘은 부산 기장의 역사를 살펴 보았습니다. 1. 부산 기장의 임진왜란 흔적 기장읍내를 걷다가 봉대산 북쪽 기슭에 있는 기장문화원에서 기장에 남아있는 임진왜란의 기록들을 보았습니다. 왜성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왜군이 동남해안 일대에 쌓은 성을 말합니다. 주로 바다에 근접한 독립된 구릉지대에 축조되었습니다. 1차적으로 임진왜란 시기 1592~1596년 경상도 서생포에서 거제도에 이르는 시기에 축조되었고, 정유재란 시기 1597~1598년에는 울산에서 순천에 이르기까지 8곳에 2차적으로 왜성을 축조하였습니다. 기장에는 죽성리 왜성과 임랑.. 2025. 3. 27. 축성 측면에서 살펴본 진주성 전투 안녕하세요. 저는 우리나라 축성에 관심이 있었고 '한국의 성곽'이라는 책에서 진주성 전투를 중심으로 살펴 보았습니다. 1. 조선 후기의 축성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직전 일본의 심상치 않은 동정에 조정에서는 비로소 일본을 경계하기 시작하였고, 남쪽 3도의 방비를 서둘렀습니다. 경상, 전라, 충청 감사를 그 지방 사정에 밝은 사람으로 뽑아 보내어 병기를 준비하고 축성을 하게 하였는데 그 가운데에서 경상도에 성을 많이 쌓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오랜 평화 생활에 젖은 백성들은 노역을 꺼려하여 지금같이 태평한 시절에 성을 쌓는 일은 당치도 않은 일이라고 원망하는 소리가 높았습니다. 경상감사 김수는 성을 쌓는 일에 힘을 기울여 가장 많은 성을 쌓았으나, 험준한 위치를 선정하지 않고 평지에 쌓았으며 또 규모.. 2022. 11. 28. 유성룡의 징비록 (1) - 신립장군 몇 년전 경상도에서 충청도로 들어오는 경계인 문경새재를 제3관문부터 제1 관문까지를 걸어서 넘으면서 왜 임진왜란때 신립장군이 조령을 지키지 않았는지 의문을 가진 적이 있었습니다. 임진왜란 때 후퇴하는 선조와 함께 하였던 유성룡의 징비록 속에 그 해답이 있어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신립 장군의 사람됨 : 장수로서 자질 부족 임진왜란 직전 1592년 봄 선조는 신립과 이일을 보내어 변방의 군비 상태를 살펴보게 하였습니다. 이일은 충청도와 전라도로 가고, 신립은 경기도, 황해도가 갔다가 한 달이 지나 돌아왔습니다. 점검한 것은 활과 화살, 창, 칼 따위 뿐이었고 군현에서는 모두들 형식만 갖춘 것을 가지고 법망을 피하며, 달리 방어에 대한 좋은 계책을 마련한 것이 없었습니다. 신립은 평소에 잔인하고 포악하다는.. 2022. 10. 25. 일본 전국시대를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에는 전국시대를 다툰 세 명의 인물로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있습니다. 일본을 제대로 알기 위해 1592년 조선에 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1. 일본의 전국시대와 통일 일본의 역사는 전국적으로 거대 고분군이 출현하는 고분시대(250~538년)를 시작으로 국호를 일본으로 변경한 아스카시대(수도는 나라현, 538~710년)와 천황 중심의 전제 중앙집권 국가를 수립한 나라시대(710~794년), 권문세족이 득세하여 정치를 좌우하였던 헤이안시대(수도는 교토, 794~1185년)로 이어집니다. 이후 가마쿠라막부(1185~1333년)에 이어 무로야마막부(1336~1573년)가 있었으며 1568년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을 통일하.. 2022. 10. 24.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