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846 끊이지 않는 지역축제 바가지 요금 논란 2023년 들어 각 지역에서 다시금 축제가 열리면서 바가지 요금에 대한 문제가 다시 불거지고 있습니다. 1. KBS 1박 2일 지역축제 바가지 요금 논란 사례 실제로 2023년 6월 1박 2일 KBS 예능프로그램에서 출연자가 경북 영양군 산나물축제 기간 중 옛날 과자를 구매하려고 하자 상인이 '한 봉지에 7만원'이라는 터무니없는 가격을 불렀습니다. 출연자가 흥정해서 세 봉지를 14만원에 구매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지만, 영상을 본 시청자들이 해당 지자체에 항의 글을 올리며 공론화되었습니다. '일부 외부 상인의 문제'라며 책임을 회피하려고 한 지자체의 해명이 논란에 기름을 부었습니다. 결국 2023년 6월 6일 영양군은 대국민 사과문을 올리기까지 하였습니다. 전남 함평의 나비축제에서는 어묵 한 그릇에 1만원.. 2023. 7. 10. AI, 예술의 경계를 묻다 AI가 만든 창작물은 예술일까, 아닐까? 생성형 AI가 만든 창작물이 독특함과 모방으로 화제의 논란을 동시에 불러오며 예술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새로운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1. 예술계 영역에 발을 들인 AI 2023년 4월 한 장의 사진이 예술계를 뒤흔들었습니다. 독일의 사진작가 보리스 엘다크젠이 국제사진전에서 우승한 출품작이 실제 사진이 아니라 AI가 만든 이미지라는 사실을 털어놓은 것입니다. 그는 "AI 이미지도 사진의 영역에 포함되는가 라는 화두를 던지기 위해 작품을 냈다"라며 "AI 이미지는 사진이 아니기 때문에 상을 받지 않겠다"라고 산언했습니다. 이 사건은 AI가 생성하는 창작물이 과연 예술인가에 대한 논쟁에 불을 지폈습니다. 인정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놓고 떠나 AI는 예술의 테.. 2023. 7. 9. 주식투자 성공은 작은 수익에 팔지 않고 버티기에 달려 있다 오늘은 요즘 선대인경제연구소 선대인 소장이 유튜브에서 이야기하는 "주식투자의 성공은 큰 수익을 기다리며 작은 수익에 버티기이다"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1. 2~3년에 걸쳐서 3~4배 수익을 기대하며 버티기 개인투자자가 2~3년에 걸쳐서 보통 3~4배의 수익이 기대되는 잠재력이 있는 종목이라고 한다면 매수 후에 2~3년간 시세에 눈을 감고 버틸 수 있는 인내력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현살은 대부분 개인투자자가 거꾸로 알고 잘못 행동하고 있습니다. 대개 손실은 잘 버티는데 수익은 잘 버티지 못합니다. 즉 팔아서 손실을 확정짓기 전에는 이게 손실이 났다고 자신의 투자 실패를 인정을 안합니다. 40~50% 손실이 나도 자신의 일로 받아들이지 않고 계속 버팁니다. 반면 수익이 나면 20~30%만 올라도 이 .. 2023. 7. 8. 2023년 7월 국내 주식시장 전망 2023년 7월 올해 하반기가 시작되었습니다. 6월말 발표된 2023년 6월 국내 수출입 통계 등 경제동향을 분석하면서 7월의 국내 주식시장을 전망해 보았습니다. 1. 2023년 6월 국내 수출입 동향 분석 2023년 6월 국내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6% 감소한 542.4억달러, 수입은 11.7% 감소한 531.1억달러로 무역수지가 11.3억달러 흑자를 시현하였습니다. 이는 2022년 2월 이후 1년 4개월 만의 첫 무역수지 흑자 시현입니다. 6월 수출은 반도체 업황 회복 지연, 2022년 6월 수출이 역대 최고수준(577억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등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수출증가율은 2023년 들어 가장 낮은 감소율을 기록(2023년 1월 16.4% 감소 이후 2월 7.7%, 3월 13.8%.. 2023. 7. 2. 이전 1 ··· 118 119 120 121 122 123 124 ··· 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