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53

싱가포르의 역사 (1) - 영국 식민지 시절 2025년 6월 20일 조찬 포럼에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역사'에 대해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 싱가포르를 영국 식민지 시절과 리콴유의 집권 부분 등으로 나누어 공부한 내용을 나누어 본다. 1. 영국의 식민지 싱가포르 1819년 동인도회사의 '토머스 스탬포드 래플스'가 싱가포르를 말레이반도의 무역 전초기지로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싱가포르의 역사는 시작된다. 영국은 1,000명 밖에 안 사는 깡촌이었던 센토사 섬에 조호르 왕자 후세인 샤를 술탄으로 추대함과 동시에 영국의 영향 아래에 집어넣어 버렸다. 래플스는 이후 4년 동안 싱가포르를 오지에서 어엿한 항구도시로 발전시켰다. 덕분에 래플스는 리콴유 초대 총리와 함께 싱가포르 역사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되었다. 그가 싱가포르에 처음 상륙한.. 2025. 6. 12.
중국 제조업 경쟁력의 실상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을 벌이는 중에 미국은 중국에 떨어진 제조업의 리쇼어링을 추구하고 있다. 하지만 내가 막연히 느끼고 있었던 중국 제조업의 막강한 경쟁력을 알게 되면서 실제 두려움이 들 정도이다. 1. 중국 제조업 경쟁력의 실상 2024년 말에 테무를 통해 값싼 중국 소비재 제품들을 직구로 구입하면서 1주일 만에 중국에서 도착한 제품들을 보고나서 가성비에 깜짝 놀랐다. 이대로 계속 구입한다면 우리나라 제조업이 무너질까 싶어 5~6번 구입한 후부터는 손을 끊었다. 오늘 이효석 아카데미에 올라온 글을 보면서 비로소 중국 제조업의 실상을 잘 알 수 있었다. 얼마전 중국으로 공장 이전을 결정한 글로벌 제조업체 경영자를 만난 적이 있다. 그 회사가 중국으로 공장을 이전을 결정하기 전에 무슨 일.. 2025. 6. 10.
퇴직 후 우리의 모습은 울산에서 고교 동창(62세)이 오늘 아침 올린 글입니다. 이 친구는 고향인 울산에서 오래 전 미술심리치료사와 주역 일을 배워 지역 사회에도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1. 퇴직 후의 모습 사람마다 퇴직 후 모습은 다양하다. 퇴직 전 잘 다듬고 준비하여 여유로운 마음으로 사는 친구가 있는 반면, 월급의 노예로 생을 다 쓰고 퇴직 후 거지 꼴로 다니는 친구도 있다. 일터가 세상의 전부가 되어 그 세상에 갇혀 수 십 년을 보내다 보니 바보가 돼 버렸다. 세상 경험이 없으니 조금 받은 퇴직금으로 창업도 할 수 없고 세상이 두렵다. 퇴직 전에는 그래도 높은 직급이니 내 말도 따라주고 지시도 하고 했는데 이젠 계급장을 떼고 보니 어디가서 그럴 데도 없다. 그러다보니 눈 떠도 할 일이 없고 같이 놀아줄 친구를 .. 2025. 6. 9.
한국 공공주택과 다른 싱가포르의 공공주택 정책 6월 말에 동남아시아 국가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역사를 분석해 조찬 포럼에서 발표를 준비하고 있다. 초안을 만들고 보니 우리와 크게 다른 싱가포르의 공공주택정책이 크게 와 닿았다. 타산지석으로 싱가포르의 공공주택(HDB) 정책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싱가포르의 공공주택 정책 1960년대 초대 수상이 된 리콴유(이광요)는 모든 국민이 자기 집을 갖도록 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이를 위해 1960년 2월 싱가포르의 '주택개발국(Housing Devepment Board)'를 설립했다. 싱가포르에서는 공공주택을 주택개발국의 이름을 따서 HDB라고 부르고 있다. 싱가포르가 공공주택정책을 펼 수 있었던 것은 대부분의 토지가 국가 소유였고 국가를 중심으로 한 개발정책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1.. 2025.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