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798 다산 정약용의 지식경영법(4) - 간난불최법(좌절과 역경에도 근본을 잃지 않는다) 다산의 핵심가치 네 번째는 어떠한 좌절과 역경에도 근본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1. 역경에 담대하라 간난불최는 어떤 역경과 시련에도 꺾이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한 사람의 그릇은 역경에 처했을 때 비로소 온전히 드러납니다. 다산은 임금의 사랑을 한 몸에 입어 한창 절정의 순간에 올랐다가 급전직하 나락의 수렁으로 떨어졌습니다. 셋째 형은 참수형을 당했고 둘째 형은 자신과 함께 귀양을 갔습니다. 한 집안의 풍운이 구렁텅이로 떨어졌습니다. 하지만 다산은 이를 오히려 기회로 학문에 매진하여 200권 이상의 책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귀양 18년째에야 비로소 다산은 고향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TV쇼 진품명품에 오랜 기간 출연하였던 김영복 씨는 2023년 11월 17일 한강역사문화포럼 특강에서 수많은 골동품을 감.. 2023. 11. 18. 다산 정약용의 지식경영법(3) - 실사구시법(사실을 추구하고 실용을 지향한다) 다산이 추구한 핵심가치의 세번째는 실사구시 정신입니다. 실사구시란 일을 실답게 하고 바름을 추구한다는 뜻입니다. 1. 실용을 우선한다 다산은 "무슨 일을 하든지 알맹이가 있어야 하며, 그러자면 일의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쓸모에 맞게 올바른 방향을 설정해 나가 알찬 결과를 얻는 것이 실사구시다"고 했습니다. 다산은 수원 화성을 축조할 당시 문루(아래에는 출입을 하는 문을 내고 위에는 누를 지어 사방을 살피는 기능을 하는 건물) 위에 구멍을 뚫어 만든 오성지를 보고 "문루의 앞뒤로 구멍 5개를 뚫어 놓았다. 오성지는 장차 성문이 불타는 것을 막자는 것인데, 일을 맡은 신하가 아름답게 꾸미는 것에만 힘을 쏟아 실용을 강구하지 않으니 안타깝다"고 했습니다. 처음 설계 도면을 올릴 때에 세부도.. 2023. 11. 16. 다산 정약용의 지식경영법(2) - 조선중화법(지금 여기의 가치를 다른 것에 우선한다) 인간은 왜 살고 공부를 왜 하는가? 어떤 공부를 하든 놓치않는 기본정신이 '핵심가치'입니다. 그것은 삶의 목적이자 학문의 목적이기도 합니다. 오직 나만이 할 수 있는 일에 매달리는 몰두의 첫 번째 핵심가치에 이어 다산의 두 번째는 지금 여기를 중시하는 자주적 태도입니다. 1. 지금 여기에 바탕한다 다산의 조선중화법에서 조선중화란 조선을 문화적 선진인 중화로 여긴다는 것입니다. 내 것에 대한 자존심을 지켜 남을 추종하지 않고 '지금 여기'의 가치를 추구하는 태도입니다. 중국만 기웃거리며 무작정 본떠 따르려는 경향과 대립되는 말입니다. 다산 학문의 두번째 핵심가치는 바로 조선중화의 정신입니다. 다산은 조선의 학자들이 조선의 일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면서 중국의 시시콜콜한 역사는 줄줄 외우고 다니고 또 그것을 .. 2023. 11. 14. 다산 정약용의 지식경영법 (1) - 오득천조(젊은이들이여 그대의 장점을 들이대라) 오늘부터 제가 감명있게 읽었고 여러 번 꺼내 읽을 수록 더 깊은 맛이 나는 다산 정약용이 실천하였던 지식경영법을 찾아내어 하나씩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1. 왜 정약용의 지식경영법인가 우리 역사에서 다산 정약용만큼 실용적인 지식경영법을 이해하고 실천한 분은 드뭅니다. 저는 2006년 정민이 쓴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책을 발견하고 생각이 날 때마다 여러 번 읽고는 했습니다. 몇 년전 다산의 외가인 해남의 해남 윤씨 고택과 강진의 다산초당을 방문한 후 다산의 지식경영법을 정리해 보려고 마음먹었다가 이제사 시작해 봅니다. 요즘 20대의 MZ세대를 특징짓는 말로 에코이스트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피해를 받지도 않으려는 강한 경향입니다. 그렇다보니 세상에 잘 들이대지를 않습니다. 20대의.. 2023. 11. 13. 이전 1 ··· 92 93 94 95 96 97 98 ··· 200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