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830 한국과 다른 일본 쇼핑 이야기 일본의 도쿄는 양파 같은 도시라 한 두번 여행으로는 그 매력을 잘 알 수 없습니다. 갈 때마다 새로운 매력을 발견합니다. 일본 여행 작가 성하연씨가 쓴 '도쿄는 쇼핑이다' 책에서 한국의 다른 일본 쇼핑 이야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일본의 소비 문화 일본은 상품의 회전율이 아주 빠른 나라입니다 일본인에게는 모노즈쿠리(물건을 만드는데 하나하나 정성을 다하는 마음과 자세)라는 정신이 있습니다. 그만큼 무언가 만들기를 좋아하니 다양한 아이템을 선보입니다. 국민성 자체가 도전성이 강해 식상한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제품이 마음에 들었다면 있을 때 바로 사야 합니다. 기존 상품들을 1~2년 후 리뉴얼해 패키지가 바뀌는 상품들이 상당수입니다. 같은 브랜드나 유통업체라도 지역에 따라 제품이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 2023. 3. 20. 대한민국 지리적 표시 농산물 (8) 깻잎 오늘은 코리안 지오푸드(저자 신완섭) 책자에서 '깻잎'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1. 우리나라에서 깻잎의 역사 깻잎은 항해살이 꿀풀과인 깨의 잎사귀인데 특별히 임자엽이라 불리는 들깨의 잎을 지칭합니다. 동남아가 원산지이고 저지대 인가 근처에서 자생합니다. 들깨는 원래 기름을 짜내기 위해 재배하였는데 자라는 동안에 잎을 채취하여 식용으로 삼은 것이 바로 깻잎입니다. 지금은 잎들깨용 종자를 개발하여 사시사철 깻잎을 먹을 수있습니다. 입맛이 없거나 마땅한 반찬이 없을 때 손쉽게 내놓을 수 있는 깻잎은 맛과 향, 영양소가 뛰어나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큰 인기입니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에서만 재배할 뿐 특유의 향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들에게 깻잎은 기.. 2023. 3. 19. 대한민국 지리적 표시 농산물(7) 약쑥과 쑥 오늘은 코리안 지오푸드(저자 신완섭) 책자에서 '약쑥과 쑥'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1. 우리나라에서 약쑥과 쑥의 역사 단군신화에서 보듯이 쑥은 예로부터 영약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매년 단군 시조에게 제사를 올리는 강화 마니산 첨성단 얕은 산자락이 약쑥의 자생지입니다. 강화 약쑥은 햇볕이 잘 드는 바닷가 쪽에 서식하며 잎의 생김새가 마치 사자의 발처럼 생겼다 해서 사자발쑥으로 불립니다. 약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인 쑥의 별칭입니다. 한방에서 뜸을 뜨는 데 필요한 뜸쑥을 만드는 쑥과 약으로 쓰는 쑥을 뜻합니다. 쑥의 잎을 말려 비비면 딱딱한 부분이 떨어지고 솜 같은 부분만 남는데 이것을 뭉쳐 뜸쑥을 만들고 듬쑥을 살에 대고 불을 붙여 뜸쑥을 뜹니다. 한방에서 쑥은 애엽이라는 약재로 .. 2023. 3. 18. 2023년 공격적인 서학개미는 20~30대가 아닌 50~60대 2023년 1~2월에 테슬라나 애플, 엔비니아, MS 등 미국 기술주들을 공격적으로 매수하는 투자자는 20~30대일 것이라는 예상을 깨고 50~60대로 나타났습니다. 1. 키움증권의 2023년 서학개미 고객계좌 분석 결과 키움증권이 2023년 1~2월 고객들의 계좌를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서학개미들은 투자자 1인당 테슬라 주식을 평균 78만원 어치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해외주식 거래 시장점유율 1위인 테슬라의 주가는 1월초 109달러에서 2월말에는 200달러까지 상승한 바 있습니다. 서학개미들은 달리는 말에 올라탄 셈입니다. 이 기간에 연령대별 테슬라 순매수 규모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이 평균 255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50대는 143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고, 30대는 평균 1만원, 20대.. 2023. 3. 18. 이전 1 ··· 133 134 135 136 137 138 139 ··· 20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