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691 노마드(유목민)의 생존방식이 주는 메시지 유목민들의 생존을 위한 질주가 21세기 초입의 사람들에게도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노마드의 생존방식이 주는 메시지를 알아 보겠습니다. 1. 톤유쿠크의 비문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 근교에 돌궐제국을 부흥시킨 명장 톤유쿠크의 비문이 있습니다. 넓은 초원에 몽골과 투르키예 국기가 동시에 휘날리는 가운데 서 있는 비문에는 당시 유목민이 겪었을 사연들을 기록하면서 장군의 유훈을 적어 넣았습니다. "성을 쌓고 사는 자는 반드시 망할 것이며 끊임없이 이동하는 자는 살아남을 것이다." 2. 유목민의 생존방식이 주는 메시지 우리가 지금 벌어지고 있는 변화의 핵심에는 정착 문명의 긴 지배가 끝나고 유목민의 시대가 시작되고 있습니다. 칭기스칸도 처음에는 좁은 몽골고원에서 동족끼리 벌이는 제로섬 게임을 벗어나려는 출구전.. 2023. 1. 6. 은행을 지탱해온 3:6:3 법칙을 아시나요 2023년 새해 벽두부터 경기침체가 은행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세간의 우려를 불식하고 은행주 주가가 달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은행의 3:6:3 법칙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은행을 지탱해 온 3:6:3 법칙이란 독일의 은행 비즈니스모델은 거의 모든 은행이 3:6:3 원칙을 따릅니다. 일반적으로 은행의 고객들은 단기 저축을 선호합니다. 따라서 수시입출금예금, 정기예금, 보통예금과 같은 기존 은행 상품에 돈을 맡깁니다. 오랫동안 돈을 묶어둘 필요가 없고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이런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이러한 금융상품에 저축을 하면 고객은 은행으로부터 3% 이자를 받았습니다. 은행은 예금자에게 돈을 빌리고, 빌린 돈에 대해 3% 이자를 지급했습니다. 은행은 .. 2023. 1. 6. 당신은 20세 노인인가, 60세 젊은이인가 오늘은 한국 대기업에서 10년간 일하다가 미국 IT 기업에서 일한 바 있는 저자가 말하는 "당신은 20세의 노인인가, 60세의 젊은이인가"를 알아 보았습니다. 1. 20세의 노인, 60세의 젊은이 나는 미국 기업에 와서 자신이 매너지리즘에 빠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학창 시절 선생님이 들려주신 '어떻게 살 것인가?'라는 이야기가 생각났습니다. 스탈린 치하의 구 소련 시절 노인과 청년 두 사람이 같은 수용소에서 생활하게 되었습니다. 노인은 세상을 체념하고 수용소에서 여생을 마치겠다고 마음먹고 주어진 현재의 삶에 대해 나름대로 만족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반면 청년은 가능성이 희박한 탈출을 끊임없이 시도해 바깥세상에 수용소의 참상을 알리고자 노력하는 사람이었습니다. 노인은 힘들게 살아가고 있는 청년에게 .. 2023. 1. 6. 사기의 교토삼굴 - 똑똑한 토끼는 세 개의 굴을 가지고 있다 2023년 계묘년 토끼의 해를 맞아 어려운 때에 토끼가 어떻게 세 개의 굴을 파고 어려움을 헤쳐나갔는지 지혜를 알아 보았습니다. 1. 사기의 교토삼굴 궁형을 당하면서도 후대를 위해 글을 쓴 사마천의 사기에는 교토삼굴의 일화가 있습니다. 교토삼굴이란 '똑똑한 토끼는 위기에 대비한 세 개의 굴을 파고 산다'는 뜻입니다. 춘추전국시대 제나라 맹상군의 식객이었던 풍환은 자신이 모시는 주군을 위하여 세 개의 은신처를 마련해 두었습니다. 그리하여 맹상군이 어려운 일을 당할 때마다 위기를 넘기고 피신할 수 있었습니다. 맹산군의 집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드나들었습니다. 식객만도 3,000명이 넘었습니다. 맹산군은 이 많은 사람들을 먹여 살리려면 자신이 나라에서 받은 설읍 땅에서 사람들이 사용한 값을 받아와야 겠다고 생각.. 2023. 1. 5. 이전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 17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