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772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주가 흐름 비교 산업의 쌀인 반도체를 대표하는 국내 두 기업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입니다. 최근까지 중장기적으로 삼성전자 주가는 외국인 지속적으로 순매도하는 중에 너무 소외되어 최근의 반등세에도 아직 6만원을 넘지 못하고 5만전자에 머물고 있고 반대로 엔비디아에 HBM을 FULL로 납품하는 SK하이닉스는 25만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두 회사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1.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이 두 종목은 제 두 딸이 각각 가지고 있는 종목입니다. 2년전 일정액을 두 딸에게 주었고 큰 딸은 오랜 고민 끝에 SK하이닉스에 1,500만원을 12만원대에 주력으로 투자하였고, 작은 딸은 별 고민없이 9만원 중반에 삼성전자를 샀습니다. 현재 삼성전자는 매수가에서 30% 하락한 6만원 문턱에서 여전히 헤매고 있으며 S.. 2025. 6. 21. Physical AI가 한국의 AI 혁신을 주도한다 우리나라에서 인터넷 시대를 연 네이버와 카카오가 한 동안 바닥을 기다가 다시 혁신을 위해 꿈틀대고 있다. 자세히 알아 보았다. 1. 소버린 AI 우리나라 혁신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내수 기업처럼 되버린 지 오래다. 하지만 네이버는 쇼핑에서 힘을 내기 시작해 2024년말부터 월간 체류시간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카카오도 오픈 AI와 제휴해 AI를 다시 되살리고 있다. 이러한 중에 신정부 청와대 AI 수석에 네이버 AI 랩 소장 출신 최연소 수석의 하정우 소장이 임명되었다. 그는 100조원을 들여 민간과 정부가 합작으로 AI 데이터센터 투자를 한다고 한다. iM증권의 "Physical AI, 혁신을 주도하다" 보고서에 의하면, AI에 의한 경제력, 군사력, 기술력, 문화력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2025. 6. 21.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독립 역사' 발표를 마치고 2025년 6월 20일 금요일 새벽 비바람이 몰아치는 중에 비를 뚫고 종로로 달려가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독립 역사" 주제의 조찬 포럼을 잘 마쳤다. 발표를 1시간 하고 토의시간이 1시간 이상 이어졌다. 1.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의 역사 우리나라에서 말레이시아의 역사를 다룬 책은 다섯 손가락 안으로 그만큼 관심이 낮은 나라이다. 반면 싱가포르를 다룬 책은 수십권이나 된다. 싱가포르에서 32세부터 32년간 독립 초대 수상부터 연이어 이후 후임자와 큰 아들까지 이어진 리콴유 수상이 이룬 업적이 크게 부각되기 때문이다. 이번 발표를 2주간 준비하면서 싱가포르는 현지에서 5년간 생활한 지인의 인터뷰부터 싱가포르에 살았던 SK 주재원 부인이 쓴 책까지 10여 권을 읽었다. 그래서 이번 발표를 들은 분.. 2025. 6. 21. SK그룹, 위기에 '본원적 경쟁력(Back to basic)' 다시 강조 SK 텔레콤의 유심 정보 이탈 등 위기를 맞은 SK그룹이 본원적 경쟁력을 강조하고 있어 살펴 보았습니다. 1. SK의 본원적 경쟁력 "플로피디스크(필름 소재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팔면 1달러지만 그 안에 소프트웨어를 담으면 가치가 20배가 된다." (최종현 선대회장이 1992년 SKC 임원간담회에서 한 발언) SK그룹 CEO들이 최종현 선대 회장의 어록을 되새기며 '경영의 본질'로 돌아갈 것을 다짐했다. SK그룹은 최근 SK텔레콤 해킹 사태와 주력사업의 실적 부진에 따른 재무 악화 등 대내외적 위기에 직면해 있는데, 이를 극복할 해법으로 통렬한 반성과 기업의 본원적 경쟁력에 주목했다. SK그룹은 2025년 6월 13∼14일 경기도 이천 SKMS 연구소에서 최태원 회장, 최재원 수석부회장, 최창원 수펙스.. 2025. 6. 19. 이전 1 ··· 4 5 6 7 8 9 10 ··· 19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