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656

단청의 아름다움을 '키보드'에 담다 키보드를 전문으로 만드는 시이닷(C.E. dot)이라는 곳에서 한국의 미를 나타내는 단청 색을 키보드에 입힌 신제품이 나왔습니다. 오늘 텔레그램에서 우연히 발견하고 너무 마음에 들어서 같이 나눕니다. 1. 시이닷 교태전 단청 염료 승화 PBT 키캡 한국의 미  교태전(왕비의 처소) 단청 염료를 승화한 PBT 키캡 한국의 미가 상품으로 나왔습니다.   키보드에 입힌 글자체는 이철경 씨의 '갈물 이철경체' 입니다. 이철경 씨는 1958년 갈물한글서회가 창설되어 현재까지 한글 궁체의 정수를 계승하고 있는 분입니다.  그녀는 일부 궁녀 출신과 서울 양반가 부녀자들에 의해 맹맥이 이어져 오던 궁체를 이론적 체계를 갖춘 것으로 정리하며 평생 궁체의 보급에 앞장서 왔습니다.   아름다운 색깔에 한글로 가득 채운 키보.. 2025. 3. 18.
트럼프는 왜 관세이고 이후 향방은 미국 트럼프대통령이 왜 집요하게 관세 정책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던 차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관세법을 전문으로 하는 김진정 미국 변호사의 인터뷰를 보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많은 궁금증이 풀렸고 미국 경제의 내면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1. 트럼프는 왜 관세인가   관세는 수입 상품에 대한 세금입니다. 원래 세금은 수입업자가 부담합니다. 트럼프가 항상 얘기하는 말은 "외국애들이 알아서 할거야"입니다. 1기 트럼프 때 미국에서 업자가 스스로 신고하고 납부하는 관세는 수입업자 대신 수출업자가 대신 내는 방식으로 많이 바뀌었습니다.    트럼프는 1980년대부터 "미국 자동차를 망하게 하는 일본 자동차를 그대로 놔 두어서는 안된다."라고 하면서 관세를 이야기하기 시작했습.. 2025. 3. 18.
움직이는 USA : 트럼프의 500만달러 골드카드 판매로 재정 균형 가능할까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3월 초 미국 영주권자의 영주권을 1명당 500만달러에 파는 골드카드제를 시행하겠다고 한 바 있습니다. 이를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1. 트럼프의 재정 균형 정책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향후 미국이 균형 예산을 달성할 경우 연소득 15만달러(2억 1,840만원) 미만 미국 국민에 대해 면세를 고려 중이라고 하워드 러트릭 미 상무장관이 2025년 3월 13일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밝혔습니다.   현재 미국의 연방 재정적자는 연 1조달러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균형 예산은 희망사항에 가깝습니다.   러트릭 장관은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균형 예산을 이룰 계획을 가지고 있다. (예산의) 낭비와 사기로 인해 낭비되는 수 조달러를 거두어 들일 것이다."고 했습니다.. 2025. 3. 17.
유통 혁신 : 이젠 대광어회가 주문 다음 날 값싸게 배달 이마트트레이더스에 가보면 수산물 코너에 안동 간고등어와 노르웨이산 고등어가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노르웨이산 고등어는 가격이 안동 간고등어의 반값이지만 수산 선진국 노르웨이가 어획 후 바로 가공까지 전 공정을 자동화해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부산의 '은하수산'이라는 회사가 노르웨이처럼 광어회 등을 자동화해 대량으로 온라인으로 판매하고 일본으로 수출도 했습니다. 이를 자세히 알아 보았습니다. 1. 은하수산은 어떤 회사인가   '은하수산'은 1970년 부산 자갈치시장에서 영도상회로 시작해 2000년에 은하수산을 설립했습니다. 1994년 부산의 아람마트에 회를 납품한 것이 수산물 가공사업의 시작이었습니다. 2020년 스마트한 대량 제조설비를 갖춘 제2공장 설비를 갖추고 200여 가지 생선 제품.. 2025. 3.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