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771

이탈리아의 밀라노 여행 (2) - 건축 이번에는 밀라노의 건축을 살펴 보고자 한다. 밀라노는 르네상스와 고딕, 신고전주의, 현대 건축까지 아우르는 이탈리아 건축의 박물관 같은 도시이다. 1. 고딕 & 르네상스 시대 건축 두모모 성당 밀라노를 대표하는 이 대성당은 1386년 안토니오 다 살루초 대주교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 교회의 고딕 양식은 이탈리아 건축 양식 중에서도 독보적이었다. 하지만 나폴레옹 시대에 완성된 정면은 바로크 양식과 네오고딕 양식이 혼합된 형태이다. 넓고 웅장한 대성당 광장은 1865년에서 1873년 사이에 조성되었다. 1865년에서 1873년 사이에 건축가 주세페 멘고니의 설계 덕분에 대성당 광장이 현재의 모습이다. 1896년에는 에르콜레 로사가 제작한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승마 동상이 제막되었다. 벽에는 2.. 2025. 6. 14.
이탈리아 밀라노 여행 (1) - 역사와 경제 2024년 9월 우리 부부는 8박 9일 이탈리아와 스위스 여행을 하였다. 이탈리아의 경제 수도인 밀라노는 베네치아와 스위스의 중간에서 오고 가는 도시였다. 어제 밀라노를 5~6번 다녀오신 분의 밀라노의 건축과 역사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그 중에서 깊이 와 닿았던 부분을 중심으로 정리해서 나누어 본다. 첫번째는 역사와 경제를, 두번째는 건축을 다루고자 한다. 이탈리아 여행을 다녀온 분들은 다시 밀라노를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1. 밀라노의 역사 12세기 후반부터 밀라노는 갑옷과 양모 생산으로 부유하고 근면한 도시였다 . 르네상스 시대에 밀라노는 베네치아, 로마, 피렌체와 함께 사치품, 직물, 모자, 직물 생산의 중심지였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밀라노는 자동차 산업, 화학, 직물, 공구.. 2025. 6. 14.
국가와 기업의 이익은 별개다 : 트럼프와 머스크의 사례 트럼프 정부에 정부효율부 책임자로 들어간 일론 머스크가 결국 큰 소동을 벌이고 소강상태에 들어갔습니다. 이와 관련 "국가와 기업의 이익은 별개다" 라는 분석을 한 ytn 기자의 내용이 있어 나눕니다. 1. 트럼프와 머스크 미국 민주당 정부에서 노동부 장관을 한 라이시는 국가와 기업의 이익은 별개다라고 했습니다. 이 말은 기업이 정부와 불가근 불가원(너무 멀지도 너무 가깝지도 않아야 함)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이를 깨고 머스크는 자신의 소신을 깨고 트럼프를 지원했고 국가효율화부 장관까지 맡아 트럼프와 가까왔습니다. 그 결과는 어떻게 되었나요. 다음은 ytn 기자의 분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 가지 패로 머스크의 숨통을 조일 수 있습니다. 머스크 기업들과 연방 정부가 맺은 계약을 해지할 수 있.. 2025. 6. 14.
싱가포르의 독립 (4) - 독립 이후의 싱가포르 오늘은 독립 이후의 싱가포르를 알아 보았습니다. 1. 독립 이후의 싱가포르 리콴유 총리는 아무 것도 없는 조그만한 섬인 싱가포르가 독립적으로 발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생각했다. 물론 이 당시에도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에 물자를 대는 항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은 말레이시아에 속한 조호르 지역이 후방에서 받쳐줬고,말레이시아와 정치적으로 통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리고 말라카 해협에는 냉전의 일환으로 이념의 대립이 있어서 수월하지 않았을 뿐, 싱가포르를 대체할 수많은 항구들이 있었다.싱가포르 자체적으로 식량이나 식수 수급은 불가능했고 배후지역인 조호르를 통해 공급받았기 때문에 조호르의 여러 항구를 잃고 싱가포르항 한 곳만 경영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말레이시아에서.. 2025. 6.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