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691 낙엽이 떨어지는 길, 숲과의 만남 (조병무 시 두 편) 우리 집 부근에 있는 중앙도서관 현관에 전시된 군포 출신 문인들의 시와 수필을 읽었습니다. 오늘 도서관 가는 길에 알룩달룩 낙엽이 피크인 길을 걸어서 인지 조병무 시인의 '낙엽이 떨어지는 길'이란 시가 와 닿았습니다. 1. 낙엽이 떨어지는 길 물든 나무 아래 서성이는 저 사람은 누구인가 노랑 은행잎 줄기 붙들고 하늘 쳐다보고 빨간 단풍잎 만지면서 가슴 어루만지는 사이 사르르 낙엽은 저 머언 거리만큼 달려가 버리고 없다 멍한 눈으로 멀어져 버린 저 사람 앞으로 멈추어 서 버린 한 마리 다람쥐 히죽희죽 웃으며 익살을 부리는데 낙엽속 파묻힌 도토리 한 알 꺼내며 에~라 먹어라 집어 던지는 사이 온통 세상 바닥 단풍잎 낙엽으로 물들어 버렸구나 2. 숲과의 만남 (조병무 시) 아래는 현대문학 2008년 9월호에 .. 2023. 10. 26. 금 간 꽃병 (쉴리 프리돔) 우리나라에 13년 이상 살아온 한 외국인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신의 입장이 강해 남의 이야기를 잘 경청하지 않아 의사소통이 힘들다고 이야기합니다. 의사소통은 금 간 꽃병과 같습니다. 슇리 프리돔의 시를 가져 왔습니다. 1. 금 간 꽃병 (쉴리 프리돔 시) 이 마편초 꽃이 시든 꽃병은 부채가 닿아 금이 간 것 살짝 스쳤을 뿐이겠지 어무 소리도 나지 않았으니 하지만 가벼운 상처는 하루하루 수정을 좀먹어 들어 보이지는 않으나 어김없는 발걸음으로 차근차근 그 둘레를 돌아갔다 맑은 물은 방울방울 새어 나오고 꽃들의 향기는 말라 들었다 손대지 말라, 금이 갔으니 곱다고 쓰다듬는 손도 때론 이런 것 남의 마음을 스쳐 상처를 준다 그러면 마음은 절로 금이 가 사랑의 꽃은 말라 죽는다 사람들의 눈에는 여전히 온전하나 마.. 2023. 10. 23. 기장 일광 해안가의 변화 - 부산 백 년 길, 오 년의 삭제 책에서 2023년 10월 둘째주 주말에 2022년까지 부산일보 논설위원을 오랫동안 역임한 고교, 대학 동기인 저자(이준영, 고향은 울산 방어진)로부터 '부산 백 년 길, 오 년의 삭제'라는 책을 받았습니다. 이 책은 최근 아파트 건설이라는 거대한 물결속에 부산 여기저기에 불과 5년 사이에 옛 길이 사라지고 지형이 크게 변화한 것을 다루었습니다. 부산 기장 일광읍에는 톨게이트 부근에 바로 양산이나 창원으로 갈 수 있는 신도시가 생겼고 신도시 맞은편 배산임수의 해변가에도 많은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일광 신도시에 제 친척도 살고 있는 일광읍의 변화에 대한 그의 글을 발췌해 보았습니다. 괄호에 쓴 글은 제가 첨가한 것입니다. 1. 일광읍 해안가의 변화 부산 동쪽 바다 어촌의 전형적인 모습을 간직해왔던 소설 갯마을의 무.. 2023. 10. 13. 그 남자가 사는 법 - 박화남 시 지중해와 이집트와 국경을 접하고 높게 벽이 세워진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수 천발의 로켓포 발사 등 전쟁 발발로 하루종일 시끄러웠습니다. 가자지구는 폭 5~8km, 길이 50km의 길쭉한 지역입니다. 박화남 시인의 '그 남자가 사는 법' 시가 눈에 들어와 나눕니다. 1. 그 남자가 사는 법 - 박화남 시 바닥을 뚫을듯이 부서지고 깨진다 아찔한 높이에서 뛰어내리는 폭포 끝까지 가본 적 없어 흘러가는 그 남자 2. 시 해석 우리는 끝을 몰라 두렵지만 끝을 모르기 때문에 과감히 뛰어내릴 수 있습니다. 우리의 인생도 폭포처럼 뛰어내려 도도히 흘러내려 갑니다. 어떤 중요한 의사결정을 눈앞에 두고 확신이 있다면 폭포처럼 용기를 가지고 뛰어들 수가 있습니다. 에코프로, 포스코홀딩스, SK이노베이션 등 우리;.. 2023. 10. 9.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 173 다음 728x90